(UI/UX) 휴리스틱(Heuristics) 평가의 개념 및 사례
- 휴리스틱 평가는 사용자 인터페이스(UI) 및 사용자 경험(UX)을 평가하는 방법 중 하나로, 전문가가 특정한 경험 법칙(Heuristics)을 기반으로 시스템의 사용성을 평가하는 기법임
- 휴리스틱 평가는 정량적인 데이터가 아닌 정성적인 평가 방식으로, 사용성 전문가가 제품이나 서비스의 UI/UX를 검토하고 문제점을 식별하는 과정임
- 휴리스틱 평가는 서비스 구축 전 UI/UX 설계를 위한 기본 원칙으로 사용되기도 함
- 휴리스틱 평가는 UI/UX 문제를 효율적으로 식별하는 강력한 방법이지만, 실제 사용자 테스트와 병행하는 것이 효과적임. 따라서 휴리스틱 평가를 초기 단계에서 활용하고, 이후 사용자 테스트를 통해 보완하는 것이 바람직함
■ 휴리스틱 평가의 특징
- 소수의 전문가(보통 3~5명)가 수행
- 사용자 테스트보다 적은 비용과 시간으로 사용성 문제 발견 가능
- 평가 기준(휴리스틱 원칙)에 따라 시스템을 분석
- 발견된 문제는 심각도(Severity)를 기준으로 우선순위 설정
■ 대표적인 휴리스틱 원칙
- 휴리스틱 평가는 다양한 원칙을 기반으로 수행되지만, 가장 널리 사용되는 것은 Jakob Nielsen의 10가지 사용성 휴리스틱 원칙임
1. 시스템 상태의 가시성 (Visibility of system status)
- 사용자가 시스템이 현재 어떤 상태인지 명확히 알 수 있어야 한다
- 예: 로딩 상태 표시, 진행 상황 바 등
2. 실제 세계와의 일치 (Match between system and the real world)
- 사용자가 익숙한 언어, 아이콘, 개념을 사용하여 이해하기 쉽게 구성해야 한다
- 예: 이메일 앱의 "휴지통" 아이콘이 실제 쓰레기통을 연상시키는 것
3. 사용자 제어와 자유 (User control and freedom)
- 사용자가 실수했을 때 쉽게 되돌릴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해야 한다
- 예: "뒤로 가기" 버튼, 취소 기능
4. 일관성과 표준 준수 (Consistency and standards)
- 동일한 기능은 일관된 디자인을 유지해야 하며, 사용자가 기존에 익숙한 UI 패턴을 따르는 것이 좋다
- 예: 네비게이션 바의 위치가 모든 페이지에서 동일해야 함
5. 오류 방지 (Error prevention)
- 오류가 발생하기 쉬운 조건을 제거하거나, 사용자가 실수를 하기 전에 방지하는 기능을 제공해야 한다
- 예: 중요한 작업 전에 "정말 삭제하시겠습니까?"와 같은 확인 메시지 제공
6. 기억보다 직관(인식) (Recognition rather than recall)
- 사용자가 기억해야 할 정보의 양을 줄이고, 직관적으로 UI를 사용할 수 있도록 도와야 한다
- 예: 입력 필드에서 자동완성 기능 제공
7. 사용의 유연성과 효율성 (Flexibility and efficiency of use)
- 초보자와 숙련자 모두에게 적합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해야 한다
- 예: 단축키 지원, 개인화된 설정 기능
8. 심미성과 최소한의 디자인 (Aesthetic and minimalist design)
- 불필요한 정보를 최소화하여 사용자가 핵심 기능에 집중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 예: 복잡한 텍스트 대신 핵심 정보만 제공하는 대시보드 UI
9.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는 오류 메시지 제공 (Help users recognize, diagnose, and recover from errors)
- 오류 메시지는 정확하고 쉽게 이해할 수 있어야 하며, 해결 방법을 함께 제공해야 한다
- 예: "비밀번호는 최소 8자 이상이어야 합니다."
10. 도움말과 문서 제공 (Help and documentation)
- 사용자가 필요할 때 참고할 수 있는 가이드나 도움말을 제공해야 한다
- 예: 검색 가능한 FAQ 페이지, 챗봇 지원
* 출처
https://www.nngroup.com/articles/ten-usability-heuristics/
https://media.nngroup.com/media/articles/attachments/Heuristic_Summary1-compressed.pdf
■ 휴리스틱 평가의 장점과 단점
1. 장점
- 빠르고 비용 효율적인 사용성 평가 가능
- 실제 사용자 테스트 전에 UI 문제를 미리 발견할 수 있음
- 정량적 데이터가 없어도 유용한 개선점을 도출 가능
2. 단점
- 전문가의 주관적 판단이 개입될 가능성 있음
- 실제 사용자 행동을 반영하지 못할 수 있음
- 모든 사용성 문제를 발견하는 데 한계가 있음
■ 휴리스틱 평가 vs. 사용자 테스트
■ UI/UX 설계 시 활용(AI디지털교과서 개발 가이드라인)
* 자료 : AI 디지털교과서 개발가이드라인 p34
https://aidt.keris.or.kr/aidt/technicalSupport/guideline/view.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