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W/SW) 클라우드(Cloud) 환경에서 온프레미스(On-Premises)로 돌아가는 이유
- 클라우드 비용 문제, AI 도입 및 기타 보안 문제로 인해 일부 온프레미스로 회귀하는 경향이 있음
- 다만, 온프레미스로의 재 이전이 다수의 추세는 아니며 또한 다수의 설문조사는 온프레미스 관련 기업에서 실시한 조사라는 것을 감안할 필요가 있음
■ 배경
- 클라우드 컴퓨팅은 초기 비용 절감, 유연성, 확장성으로 인해 많은 기업에서 채택되었으나, 최근 일부 기업이 클라우드에서 온프레미스로 복귀하는 사례가 등장
- 클라우드의 장점에도 불구하고 비용, 성능, 보안 문제로 인해 온프레미스 재고 필요성이 대두
- 관련 논의는 주로 미국 및 한국을 포함한 글로벌 시장에서 진행 중이며, 특히 데이터 주권과 규제 준수 이슈가 중요한 변수로 작용
■ 클라우드에서 온프레미스로 회귀하는 주요 원인
1. 비용 문제
- 클라우드 사용량 증가 시 비용이 기하급수적으로 상승하며, 특히 데이터 송신(egress) 비용이 큰 부담으로 작용
- 장기적으로 안정적인 워크로드를 운영하는 경우, 온프레미스의 초기 투자 대비 유지비용이 클라우드보다 저렴할 수 있음
2. AI 도입 및 성능 요구사항
- AI 및 빅데이터 워크로드의 경우 높은 대역폭과 낮은 지연 시간이 요구되며, 클라우드 환경에서 이를 충족하기 어려운 경우가 발생
- 온프레미스는 데이터 처리 속도와 커스터마이징 가능성을 제공하여 AI 워크로드에 적합하다는 주장
3. 보안 및 규제 준수
- 온프레미스는 데이터가 조직 내부에 유지되어 보안 정책을 일관되게 적용 가능
- 클라우드 제공업체(주로 미국 기반)의 데이터 관리 방식에 대한 불신, 특히 한국 등 비미국 지역 기업에서 두드러짐
■ 고려사항
- 온프레미스로의 회귀는 전 산업적 트렌드가 아닌 특정 워크로드 및 산업(금융, 제조 등)에 국한
- 초기 투자 비용과 인프라 유지보수 부담이 온프레미스의 단점으로 작용하며, 모든 기업에 적합하지 않음
- 설문조사 데이터의 출처가 온프레미스 솔루션 제공 기업에서 나온 경우가 많아 편향 가능성 존재
- 하이브리드 클라우드가 비용, 보안, 유연성을 절충한 대안으로 주목받고 있으며, 클라우드와 온프레미스의 장점을 결합
■ 참고자료
- https://www.apple-economy.com/news/articleView.html?idxno=74578
- https://zdnet.co.kr/view/?no=20240927110953
- https://www.sharedit.co.kr/posts/31077
- https://www.apple-economy.com/news/articleView.html?idxno=74578
- https://www.codenary.co.kr/latest-news/3652
- https://muns-da2.tistory.com/544
- https://www.forbes.com/councils/forbestechcouncil/2024/09/09/the-repatriation-of-databases-a-guide-to-moving-back-to-on-premises-from-cloud-environments/
- https://type.jp/et/feature/2777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