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파민 중독과 쇼핑 단위 시간 감소 현상 요약
- 최근 소비자 행동에서 쇼핑 시간이 점점 짧아지며, 즉각적인 보상을 추구하는 경향이 강해지고 있음. 이러한 현상은 도파민 중독(Dopamine addiction) 개념과 밀접한 관련이 있음
■ 도파민 중독이란
정의 | 뇌에서 쾌락, 보상, 동기 부여를 관장하는 신경전달물질인 도파민에 과도하게 의존하게 되는 상태 |
유발요소 | 스마트폰, SNS, 숏폼 콘텐츠, 즉시 구매 등 반복적 보상 시스템 |
특징 | 자극의 빈도와 강도가 높을수록 더 자극적인 경험을 찾게 되며, 인내심 및 집중력 저하 |
■ 쇼핑 단위 시간 감소 현상
과거쇼핑 | 천천히 비교, 오프라인 탐색 중심 |
현재쇼핑 | 몇 초 내 결정, 원터치 결제, 추천 알고리즘 기반 쇼핑 (사례) 쿠팡 로켓배송, 인스타그램 쇼핑, 라이브커머스 '즉시 구매' 유도 |
* 단위 시간 감소란?
쇼핑 1회당 소요되는 시간이 지속적으로 짧아지는 현상. 구매 결정까지의 인지 → 탐색 → 비교 → 구매의 과정이 '인지와 구매'만으로 축약되고 있음
■ 추천 자료
1. 미래에셋증권 2025.3.6, "NAVER 강력한 커머스 모멘텀 임박"
2. 주요 내용
- 도파민 중독은 쇼핑 단위 시간의 감소로 이어질 전망이다. 숏폼 시청에 따른 도파민 중독은 물품 구매까지 이어지는 일련의 행위(검색-리뷰 탐색-가격비교-구매 결정) 자체를 피로하게 느끼도록 만든다.
- 숏폼 시청 자체가 콘텐츠를 선택하는 것이 아닌 AI 기반 자동 추천을그저 따라가는 것이기 때문이다. 현대인들은 쇼핑을 위한 정신적 여유도 이전만큼 없다.
- 쇼핑 단위 시간의 감소 양상은 이미 국내와 글로벌에서 관찰되고 있다. 쿠팡을 비롯한 국내커머스 앱 전반의 실행당 평균 체류시간은 불과 5년만에 절반 이하로 감소했다. 작년에도 10% 이상의 역성장을 기록한 플랫폼이 대부분이다.
- 글로벌도 국내와 크게 다르지 않다. 아마존 쇼핑, 알리익스프레스, 이베이, 테무 등 주요 글로벌 커머스 플랫폼의 일평균 체류시간도 22년 이후 연 5% 이상의 감소세를 보이고 있다.
■ 참고 자료
- https://news.hidoc.co.kr/news/articleView.html?idxno=31379
- http://tech.kobeta.com/%EC%88%8F%ED%8F%BC%EC%9D%98-%EC%9D%B4%EC%9A%A9%EA%B3%BC-%EB%B6%80%EC%9E%91%EC%9A%A9/
■ 다른 관점 자료
- https://brunch.co.kr/@mrtolstol/32
'최신트렌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자상거래) 온라인 쇼핑 카드 결제액 순위 및 네이버 검색 트렌드 추이 (0) | 2025.04.17 |
---|---|
(트렌드) 트립닷컴, Momentum 2025 Report : 차세대 여행 트렌드 보고서 (2) | 2025.02.24 |
[트렌드] 2025년 트렌드 요약 - 신조어 모음 (0) | 2025.02.21 |
[트렌드] 주요 국내외 트렌드 관련 자료 정리 (1) | 2025.02.07 |
(UI/UX 트렌드) 2025년 UI/UX 웹디자인 트렌드 요약 (0) | 2025.01.2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