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I&UX11 [가이드라인] 고령층 친화 디지털 접근성 고령층(시니어)을 위한 웹사이트를 구축할 때는 사용자들의 신체적, 인지적 특성을 고려하여 접근성과 사용성을 높이는 것이 중요함■ 고령층 친화 가이드라인 1. 고령자 친화적 모바일 금융앱 구성지침(2022, 금융위원회) - 고령자들이 모바일 금융 앱을 보다 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구성 요소와 디자인에 대한 권장 사항을 제공 https://www.fsc.go.kr/no010101/774262. 고령층 친화 디지털 접근성 표준(2020, 서울시) - 고령층이 디지털 서비스를 이용할 때 겪는 불편을 최소화하기 위한 접근성 기준을 제시 https://smart.seoul.go.kr/board/41/4901/board_view.do3. 콘텐츠 서비스 시니어 모드 UI/UX 가이드라인(2018, (주)이니.. UI&UX 2025. 2. 11. 더보기 ›› (SEO) 파비콘(Favicon) 개념 및 SEO 파비콘(Favicon)은 favorite icon의 줄임말로, 웹사이트를 대표하는 작은 아이콘임일반적으로 브라우저의 탭, 주소창, 북마크, 검색 결과 등에 표시됨파비콘은 웹사이트의 브랜드 정체성을 강화하고, 검색 엔진 및 사용자 경험(UX)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소임■ 파비콘의 주요 역할 1. 브랜딩 및 인지도 향상 - 사이트의 고유한 아이콘을 사용하여 브랜드 인지도를 높일 수 있음 - 사용자들이 즐겨찾기나 북마크에 저장할 때 사이트를 빠르게 구별할 수 있음 2. 웹사이트 가독성 및 탐색 편의성 제공 - 여러 개의 브라우저 탭을 열어둔 상태에서도 사용자가 원하는 사이트를 쉽게 찾을 수 있음 - 모바일 기기에서도 아이콘을 통해 사이트를 쉽게 식별할 수 있음 3. 검색 결과에서 시각적 강조 - .. UI&UX 2025. 2. 10. 더보기 ›› (글로벌 SEO) 다지역 및 다국어 언어 설정 다국어 언어 설정 방법은 "1)국가별 도메인(ccTLD), 2)gTLD를 포함하는 하위 도메인, 3)gTLD를 포함하는 하위 디렉터리, 4)URL 매개변수 방법"이 있음Google에서는 쿠키나 브라우저 설정을 사용하여 페이지의 콘텐츠 언어를 조정하는 방법보다는 페이지의 URL을 언어별로 달리 할 것을 권장언어별로 서로 다른 URL을 사용하는 경우 hreflang 주석을 사용하여 Google 검색결과가 페이지의 올바른 언어 버전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처리 필요1. 다국어 언어 설정 장단점2. 관련 상세 정보 https://developers.google.com/search/docs/specialty/international/managing-multi-regional-sites?hl=ko 다지역 및 다국어 .. UI&UX 2025. 2. 5. 더보기 ›› (SEO) 웹사이트를 위한 URL 설정 [Setting URLs for your website] 웹사이트를 위한 URL 설정이란 웹페이지의 주소(URL)를 체계적으로 설계하고 구성하는 과정이는 사용자 경험(UX)을 향상시키고 검색 엔진 최적화(SEO)를 강화하며, 웹사이트의 가독성과 관리 효율성을 높이는 데 중점을 둠1. 웹사이트 URL 설정의 목적 a. 사용자 경험 향상 - 이해하기 쉬운 구조: 간결하고 직관적인 URL은 사용자가 웹사이트 내에서 쉽게 탐색하고 원하는 정보를 빠르게 찾을 수 있도록 돕습니다. - 신뢰성 증가: 명확한 URL은 사용자에게 신뢰를 주고, 클릭률(CTR)을 높이는 데 기여합니다. b. 검색 엔진 최적화(SEO) - 검색 엔진 크롤링 최적화: 명확하고 간단한 URL은 검색 엔진이 웹페이지를 쉽게 크롤링하고 색인화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 랭킹 향상: 관련 키워드와.. UI&UX 2025. 1. 17. 더보기 ›› (UI/UX) 마법의 숫자 7 [The magic number 7] 마법의 숫자 7([The magic number 7)은 인지심리학의 창시자로 불리는 조지 밀러(George A. Miller)가 처음 제시한 이론1959년 ‘Magical Number Seven Plus, Minus Two 마법의 숫자 7±2’라는 논문을 발표하며 인간의 평균 작용 기억에 저장할 수 있는 수가 최소 5개에서 최대 9개까지라는 주장1. 요약a. 단기 기억의 한계 - 사람의 단기 기억은 정보 조각(Chunks)을 저장할 수 있는 제한된 용량을 가지며, 평균적으로 5~9개 정도를 유지할 수 있음 * (예) 전화번호를 외울 때, 숫자 7~9자리 정도는 한 번에 기억할 수 있지만 그 이상은 어려워짐 b. 청크(Chunking) - 정보의 단위를 묶어(청크화) 기억 용량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 UI&UX 2025. 1. 16. 더보기 ›› 이전 1 2 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