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표준) 웹 표준, 웹 접근성, 웹 호환성의 정의와 차이점

METACV 2025. 2. 6.
  • 웹 표준(Web Standards) 웹 개발자가 따라야 할 기술 규칙과 가이드라인을 의미
  • 웹 접근성(Web Accessibility, WAI) 장애인 및 취약 계층도 웹을 원활히 사용할 수 있도록 보장하는 개념
  • 웹 호환성(Web Interoperability) 웹사이트가 다양한 환경(브라우저, OS, 기기)에서도 정상적으로 작동하게 하는 것
  • 즉, 웹 표준을 준수하면 웹 호환성이 높아지고, 웹 접근성 향상에도 기여할 수 있음

1. 정의 (자료출처: TTA)
1-1. 웹 표준(Web standards)
- 월드 와이드 웹(WWW)을 구현하기 위해 따라야 할 표준 또는 규격. 다양한 웹 기술을 통해 수많은 콘텐츠가 공유되고 확산되면서, 웹 접근성, 사생활 보호, 보안, 국제화 등을 고려한 웹 기술의 표준화가 필요하게 되었다. 국제 표준화 기구로 월드 와이드 웹 컨소시엄(W3C)이 있으며, 대표적 웹 표준으로 하이퍼텍스트 마크업 언어(HTML), 확장성 하이퍼텍스트 마크업 언어(XHTML), 종속 스타일 시트(CSS: Cascading Style Sheets), 자바스크립트(JavaScript), 웹 사용에 대한 웹 콘텐츠 접근성 지침 등이 있다.

1-2. 웹 접근성(Web Accessibility, WAI)
- 신체 제약이나 환경 제약에 얽매이지 않고 이용자가 웹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접근해 이용할 수 있어야 한다는 개념. 초기에는 장애인 때문에 생겨난 개념으로 시각장애인에게는 이미지 같은 시각 정보에 대한 설명, 청각장애인에게는 동영상 음성 정보의 자막 제공, 지체장애인에게는 키보드만으로 메뉴 접근과 웹을 쓸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그밖에도 환경 제약으로 비표준화된 특정 기술을 쓰지 않고 표준만 준수하면 어떠한 장애 없이 웹을 쓸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웹 접근성을 고려한 콘텐츠 제작 방법으로는 쉬운 인식, 쉬운 운용, 쉬운 이해와 견고함을 기반으로 한다.

1-3. 웹 호환성(Web Interoperability)
- 브라우저와 운영 체계(OS)에 상관없이 웹 사이트를 이용할 수 있는 것. 정부는 2009년 8월 국민 누구라도 이용 환경에 구애받지 않고 전자 정부 서비스 이용이 가능하도록 전자 정부 웹 호환성 준수 지침을 고시하였다.

2. 차이점

개념 정의 주요 목적 주요 기술 및 원칙
웹 표준 (Web Standards) W3C(World Wide Web Consortium) 등 국제 표준화 기구에서 정한 웹 기술 규칙과 가이드라인을 따르는 것 모든 웹 브라우저와 기기에서 일관된 동작과 성능을 보장 HTML, CSS, JavaScript 표준, 시맨틱 마크업, 웹 표준 준수 코딩
웹 접근성 (Web Accessibility, WAI) 장애인, 고령자 등 신체적 제약이 있는 사용자들도 웹 콘텐츠를 불편 없이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 모든 사용자가 웹사이트를 동등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보장 WAI(웹 접근성 이니셔티브), WCAG(웹 콘텐츠 접근성 가이드라인), 대체 텍스트, 키보드 네비게이션 지원, 색상 대비 조정
웹 호환성 (Web Interoperability) 다양한 운영체제(OS), 웹 브라우저, 기기에서 웹사이트가 동일하게 동작하도록 하는 것 특정 환경에 종속되지 않고, 어디서든 웹 콘텐츠를 원활히 제공 크로스 브라우징(Chrome, Edge, Firefox, Safari 지원), 반응형 웹 디자인, 적절한 폴리필 사용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