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가이드라인&보고서2

[공공] 공공기관 업무 진행을 위한 공공언어 관련 참고사항

공공언어란 공공기관에서 일반 국민을 대상으로 공공의 목적으로 사용하는 언어임공공언어는 국민 누구나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명확하고 간결해야 하며, 특정 집단만 이해할 수 있는 전문 용어나 어려운 표현을 최소화해야 함■ 참고자료 1. [고/라고]  “~가 중요하다.”고 말했다. → “~가 중요하다.”라고 말했다.  (해설) 앞말이 직접 인용되는 말임을 나타내는 조사는 ‘라고’이다. ‘고’는 앞말이 간접 인용 되는 말임을 나타내는 격 조사(예: 아이들이 소풍을 가자고 떼를 쓴다.)이므로 직접 인용되는 말 뒤에는 쓰기 어렵다. 2. [로써/로서] 그것은 교사로써 할 일은 아니다. → 그것은 교사로서 할 일은 아니다. (해설) 지위나 신분 또는 자격을 나타내는 격 조사는 ‘로서’이다. ‘로써’는 어떤 일의 수.. 가이드라인&보고서 2025. 2. 14.

(UI/UX) 디지털 정부서비스 UI/UX 가이드라인

'디지털 정부서비스 UI/UX 가이드라인'은 디지털 서비스를 구성하는 여러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UI) 요소 중 사용 빈도가 높고 사용자 경험(User Experience; UX) 품질에 큰 영향을 주는 공통 구성 요소, 핵심 과업에 대한 설계·구현 가이드 등 「전자정부법」, 「행정기관 및 공공기관 정보시스템 구축·운영 지침」,  「전자정부 웹사이트 품질관리 지침」에 따라 행정기관 및 공공기관이 준수해야 할 디지털 정부서비스 UI/UX에 대한 세부 사항을 제시하고 있음 1. 가이드라인 개발 목적  - 사용자 경험의 제고와 이용자 만족도 향상  - 사용자 경험을 향상하기 위한 접근 방법과 지침 제시  - UI/UX 개발 및 관리에 투입되는 비용 절약 2. 가이드라인 주요 특징  -.. 가이드라인&보고서 2025. 1. 22.